주식으로 돈 벌기/종목 공부

코오롱 : 수소 + 저PBR 정책 수혜주, 주가 전망 및 현황

광주여자 2025. 6. 24. 20:27
반응형

 

* 투자의 결정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의 본인에게 있으며, 주식 투자는 위험성을 동반하므로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. 

 

📌 기업 개요

코오롱(KOLON)은 국내 대표적인 중견 그룹 중 하나로, 1954년 설립 이래로 화학, 섬유, 건설, 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군에 진출한 다각화된 기업입니다.

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**코오롱(002020)**은 여러 자회사들을 보유하고 있으며, 특히 코오롱인더스트리, 코오롱글로텍, 코오롱플라스틱, 코오롱생명과학 등이 주요 계열사로 꼽힙니다.

 

🧬 주요 사업 분야

  1. 화학·소재 산업
    • 필름, 섬유, 산업용 자재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소재 생산
    • 특히 수소차 연료전지용 멤브레인 사업과 아라미드 섬유(슈퍼섬유) 등은 고부가가치 분야
  2. 건설 및 인프라
    • 코오롱글로벌을 통해 토목, 건축, 플랜트 사업 수행
    • 리츠, 스마트시티 등 신사업에도 진출
  3. 바이오/의료 산업
    • 코오롱생명과학은 골관절염 치료제 '인보사' 이슈 이후 회복을 시도 중
    • 세포치료제, 유전자 치료제 기반 연구 지속
  4. 친환경 및 수소사업
    • 수소 저장소재, 필터, 멤브레인 등 ESG 테마와 연관된 기술개발 활발

 

🔍 향후 주가 전망 

✅ 긍정 요인 

  • ① 수소/소재 관련 테마 수혜 가능성
    : 정부의 수소산업 육성정책과 맞물려, 코오롱의 수소저장소재·멤브레인 관련 기술이 재평가될 여지 있음
  • ② 구조조정 마무리 단계
    : 인보사 사태 이후 체질 개선과 자산 정리가 이뤄지고 있으며, 자회사 중심으로 실적 회복 조짐
  • ③ 낮은 밸류에이션 + 지주사 리레이팅 기대감
    : 최근 정부는 PBR(주가순자산비율)이 1배 미만인 상장사들의 자본효율성 제고를 유도하고 있습니다.
    특히 지주사 종목들 대부분이 만성적 저PBR 상태에 놓여 있어, 자산가치 대비 극심한 저평가 이슈가 지속되어 왔습니다.→ 실제로 일부 대형 지주사(예: LG, SK, 한화 등)는 주주환원 강화, 자사주 소각, 지배구조 개편 등으로 주가 반등세를 보이고 있으며, 중소형 지주사로 관심이 확대되는 추세입니다.
  • 코오롱 또한 1배 이하의 낮은 PBR을 유지 중이며, 자회사(코오롱인더, 코오롱생명과학 등)의 지분가치 합산 대비 순자산가치(NAV)와 괴리가 크다는 점에서, 정책 수혜주로서의 리레이팅 기대감이 유효합니다.

 

✏️ 투자 포인트 정리

  • ✅ 코오롱은 낮은 PBR을 기반으로 한 정책 테마 수혜 후보
  • NAV 대비 할인율 해소 가능성 + 수소·소재 분야 중장기 성장성
  • ❗단기 실적 불확실성, 자회사 리스크는 여전히 모니터링 필요
반응형